고전 컴퓨터는 정보를 1과 0의 비트 단위로 처리하는 반면, 양자컴퓨터의 최소 단위, 큐비트는 0이기도 하고 1이기도 한 상태를 동시에 갖습니다. <br /> <br />살아있으면서 죽어있는 '슈뢰딩거의 고양이' 상태, 즉 양자 역학을 이용한 양자컴퓨터는 슈퍼컴퓨터로도 몇백 년이 걸리는 계산을 단숨에 풀어냅니다. <br /> <br />큐비트를 구현해내는 방법은 다양한데, 현재는 초전도와 이온트랩 방식이 가장 상용화에 가깝습니다. <br /> <br />광자를 이용한 양자컴퓨터는 개발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지만, 전망이 밝습니다. <br /> <br />상온에서 작동하고, 오류 정정이 다른 방식보다 쉽다는 장점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싸이퀀텀과 자나두 같은 기업이 대표적인 '광자를 이용한 양자컴퓨터' 개발 회사입니다. <br /> <br />[이종무 /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양자컴퓨팅연구실 책임연구원 : 광자는 빛의 속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거기 때문에 광자를 고정해서 사용하는 건 아니고 지나가는 광자들을 계속 측정하고 그 뒤에 있는 것으로 얽힘으로 연결을 하고 해서 계속 계주 달리기처럼 바톤 터치해서 가는 그런 것처럼 해서 광자들로 양자 컴퓨팅을 하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은 손톱만한 실리콘 칩에 광자 8개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멀리 떨어진 두 입자가 빛보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는 '양자 얽힘' 현상도 6 큐비트 규모에서 확인했는데 둘 다 세계 최초입니다. <br /> <br />양자컴퓨터를 실제로 구현하려면, 큐비트의 연산 오류 수정이라는 큰 산을 넘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5년 안에는 해외 기업처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장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| 이영훈 <br />화면제공 | 한국전자통신연구원 <br />자막뉴스 | 안진영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90514024836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